2024년 12월 3일
투표에서 접근성은 어떻게 달성될 수 있을까요? 이는 공평한 접근을 막는 장벽을 이해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됩니다.
이 나라에서 장애인들의 평등을 얻기 위한 투쟁의 역사와 뉴욕시의 장애인 커뮤니티의 현황, 그리고 모든 사람이 투표에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취해진 조치들을 살펴봄으로써, 우리는 이 도시와 그 너머에서 더 접근성 있는 미래를 위해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내다볼 수 있습니다.
간단히 알아보는 역사: 504 Sit-In 농성의 영향
1973년 재활법 (Rehabilitation Act)은 장애를 이유로 한 차별을 금지한 최초의 법률이었습니다. 이 법은 장애를 ‘(A) 개인의 주요 생활 활동 중 하나 이상을 실질적으로 제한하는 신체적 또는 정신적 장애가 있거나, (B) 그러한 장애의 기록이 있거나, (C) 그러한 장애가 있는 것으로 간주되는 사람’으로 정의합니다. 1990년에 법률이 된 미국장애인법(Americans with Disabilities Act, ADA)은 이후 이 문구를 기반으로 의미를 확대하고, ‘handicapped(장애가 있는)’라는 용어를 ‘disability(장애)’로 대체하였습니다.
재활법의 제504항은 (두 번의 거부권 행사에도 불구하고) 1973년에 법률로 제정되었습니다. 하지만 이는 즉각적으로 완전히 시행되지 않았고, 장애인들은 필요한 편의 이용과 공공 서비스에 대한 접근이 제한되었습니다. 이 법률은 4년 동안 시행되지 않은 채로 남아있었습니다. 그렇게 된 이유는 주로 기업들과 단체들이 제504항 시행에 반대하는 로비를 펼쳤기 때문이었는데, 이들은 장애인을 위한 편의시설을 구현하지 않으면 연방 기금을 잃게 되는 것이 큰 부담이 되고 불공평하다고 주장했습니다.
장애인들의 더 나은 접근성과 편의시설을 요구하기 위해 여러 도시에서 장애인 단체가 연좌 시위를 벌인 역사적인 ‘504 Sit-in (연좌) 농성’이 1977년에 있었습니다. 연방 건물에 대한 가장 긴 점거는 샌프란시스코에서 있었고, 25일간 지속되었습니다. 이 시위는 미국의 장애인 권리를 발전시켰고 결과적으로 향후 법률 제정의 길을 열어주는 데 도움을 주었습니다.
한편, 장애인들이 투표권을 가지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선거일에 실제로 투표장에 가서 투표를 하는 것을 어렵게 하거나 불가능하게 만드는 장벽들이 여전히 존재했습니다. 하지만 1984년 노인 및 장애인 투표 접근성 법이 통과되고, 이 법률이 연방 선거에서 접근 가능한 투표소를 제공하거나 선거일에 대체 투표 수단을 제공하도록 규정하면서 이러한 격차를 해소했습니다.
최근에는 2009년에 채택된 로사법(Rosa's Law)이 지적 장애인을 정의하는 데 사용되던 ‘정신지체(retardation)’라는 단어의 사용을 대체하고 규탄했습니다. 이 법안은 하원을 만장일치로 통과했습니다. 이 법안의 통과는 단어의 비하적 의미에 대한 인식과 장애인에 대한 표현 방식을 변화시키려는 의지를 보여주었습니다. 언어가 중요합니다. 우리는 장애인을 통제하거나 조롱하는 언어 사용에 맞서고 이러한 단어 사용에 대한 대중의 인식 변화를 장려하기 위해 커뮤니티로서 큰 진전을 이루었습니다.
언어가 중요합니다. 우리는 장애인을 통제하거나 조롱하는 언어 사용에 맞서고 이러한 단어 사용에 대한 대중의 인식 변화를 장려하기 위해 커뮤니티로서 큰 진전을 이루었습니다.
뉴욕과 그 너머의 장애인 커뮤니티
시장실 산하 장애인 담당실 (Mayor’s Offic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에 따르면, 뉴욕 시민 6명 중 1명, 약 1백만 명이 장애가 있다고 확인되었습니다. 이러한 놀라운 수치에도 불구하고, Inevitable Foundation 연구소의 표본 조사에 따르면, 장애 여부와 관계없이 66%의 사람들이 영화나 미디어에서 장애인의 대표성이 부족하다는 데 동의했습니다.
하지만 그것은 안타깝게도 일반적인 현상입니다. 대부분의 사적, 공적 공간은 장애인을 포용하도록 만들어지지 않았습니다. 결과는 무엇일까요? 장애인들은 이러한 공간에 올 수 없게 됩니다. 비장애인들은 장애인들이 이러한 공간에 관심이 없거나 그 안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가정합니다. 그래서 그러한 공간은 계속해서 장애인 접근이 불가능한 상태로 남습니다. 접근 불가능성의 악순환이 계속됩니다.
알고 계셨나요? 뉴욕시 의회에 따르면, 현재 자금 지원 계획이 없는, 장애인 접근이 불가능한 MTA 역이 283개가 있습니다. 그리고 엘리베이터의 73%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입니다. 또한, MTA 웹사이트의 96%가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 WCAG) 버전 2.1을 준수하지 않고 있습니다.
장애인들이 직면하는 장벽에는 물리적, 제도적, 태도적, 기술적, 의사소통상 장벽, 이 다섯 가지 범주가 있습니다. 장벽의 예시로는 입구의 계단(물리적), 고정관념(태도적), 낡은 법률의 비하적인 언어(제도적), 접근 불가능한 웹사이트(기술적), 또는 영상의 자막 부재(의사소통상 장벽) 등이 있습니다.
개선이 필요한 부분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뉴욕은 콜롬비아 특별구와 함께 정신적 무능력자 선거법을 가진 22개 주 중 하나입니다. [1] 뉴욕주 선거법 § 5-106(6)에 따르면, 법원 명령에 의해 무능력자로 판정된 사람들은 투표권을 가질 수 없습니다. 법원이 발달장애(Developmental Disorder, DD)가 있는 사람을 무능력자로 판단할 경우, 이는 그들의 헌법상 투표권을 박탈할 뿐만 아니라 발달장애인이 스스로 결정을 내릴 능력이 없다는 고정관념을 강화합니다.
뉴욕시에서의 장애인 투표 접근성
투표는 기본권입니다. 실제로 이는 헌법에서 15번째, 19번째, 24번째, 26번째 권리입니다. 장애인들은 이 나라의 모든 시민에게 부여된 것과 동일한 권리와 자유를 어려움이나 판단 없이 누리기를 원합니다.
Center for the Independence of the Disabled (장애인 자립 센터)가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지역 투표소의 출입구에 들어가는 것조차 장애인들의 투표에서 중요한 장벽으로 남아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뉴욕시 투표소의 총 64%가 발달장애인들이 지적한 하나 이상의 접근성 장벽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장애인들의 투표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많은 방법들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많은 시 기관들이 77개 이상의 투표소로 가는 무료 교통수단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선거관리위원회(Board of Elections, BOE) ADA 부서는 선거일과 사전 투표 기간 동안 5개 자치구 전역의 투표소가 모든 유권자들에게 접근 가능하도록 하는 데 전념하고 있습니다. 이 담당 부서는 각 투표소에 최소 한 대의 기표 장치와 한 개의 ADA 프라이버시 부스를 설치하여 모든 사람이 비밀을 유지하며 독립적으로 기표를 할 수 있도록 보장합니다. 사전 투표 제도의 시행 또한 투표를 더 쉽게 만드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요청 시 이용이 용이한 우편 투표용지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CFB를 포함한 많은 독립 기관과 시 기관들이 투표소의 접근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즉 현재 존재하는 장벽들을 인정하고 가능한 경우 임시적인 접근성 해결책을 제공하며, 유권자 교육을 확대하기 위한 지역사회 방문 활동을 수행하고, 투표 접근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한 교육 기회와 훈련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투표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는 데 성공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투표에 참여하고 지지하는 행위만으로도 큰 도움이 됩니다. 우리는 필요한 곳에서 귀를 기울이고 행동을 할 수 있도록 장애인 커뮤니티에 의해, 그리고 장애인 커뮤니티를 위해 열리는 행사에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함께합니다.
투표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는 데 성공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투표에 참여하고 지지하는 행위만으로도 큰 도움이 됩니다. 우리는 필요한 곳에서 귀를 기울이고 행동을 할 수 있도록 장애인 커뮤니티에 의해, 그리고 장애인 커뮤니티를 위해 열리는 행사에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함께합니다.
CFB의 장애인 접근성 계획
시장실 산하 장애인 담당실과 지방법 12에 따라, CFB는 유권자들을 가장 잘 지원할 수 있도록 포괄적인 5개년 접근성 계획을 수립했습니다. 우리는 필요한 접근성 유형에 따라 물리적, 디지털 관련, 프로그램 관련, 의사소통 관련, 직장 관련 개선사항들을 다룰 계획이며, 이를 통해 더 공평한 CFB를 보장하고자 합니다. 이 계획은 내부적으로나 외부적으로 더 접근성 있는 경험을 만들기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행동을 취하는 데 집중되어 있습니다.
CFB 접근성 계획은 개선을 위한 현실적인 맥락과 아이디어를 제공합니다. 이는 시작부터 끝까지 유권자들을 위한 접근 가능한 통로를 만들겠다는 약속입니다. 이를 위해, 우리는 모든 개발 단계에서 지역사회를 고려하기 위해 대중이 계획을 검토하고 의견을 제시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했습니다. 소통은 매우 중요하며, 지역사회와의 소통이 없다면 우리는 지역 민주주의를 더 개방적이고 투명하며 공평하게 만들고자 하는 우리 기관의 임무를 달성할 수 없을 것입니다.
하지만 이것은 하나의 진일보에 불과합니다. 접근성에 대해 체크리스트식의 접근 방식을 취해서는 안 됩니다. 대신 우리는 사람들이 필요로 하는 것의 미묘한 차이를 경청하고 이해하려 노력해야 합니다. 접근성은 일회성 해결책이 아닙니다. 접근성은 공감과 이해가 필요한 진행 중인 대화입니다.